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2] Lee Je-ma’s Sasang Medicine

이미지
       CALee Acupuncture Modern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2] Exploring the Blueprint of My Body: Lee Je-ma’s Sasang Medicine Have you ever thought that there might be a health method uniquely suited to you? Many people already experience that standardized health guidelines do not apply equally to everyone. Sasang Medicine (Four-Types Medicine) begins exactly at this point. It recognizes the limitation of standardized health models that ignore individual “uniqueness,” and instead presents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by understanding the innate blueprint of our body. 1. Lee Je-ma and Donguisusebowon : A Synthesis of Philosophy and Medicine Lee Je-ma (李濟馬, 1837–1900), a scholar and physici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explored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health during a time of great turmoil. His medical text,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 was not merely a manual on curing disease. It was the result of profoun...

한국 침술 (K-Acupuncture) [2편] 이제마의 사상의학

이미지
        CALee Acupuncture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2편] 내 몸의 설계도를 탐구하다: 이제마의 사상의학 여러분은 혹시 나에게 맞는 건강법이 따로 있다 는 생각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획일화된 건강 기준이 모든 사람에게 통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이미 많은 분들이 경험하고 계실 거예요. **사상의학(四象醫學)**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합니다. 개인의 **‘고유성’**을 간과하는 표준화된 건강 모델의 한계를 직시하고, 우리 몸의 타고난 설계도를 이해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를 제시하는 학문이죠. 1. 이제마와 『동의수세보원』: 철학과 의학의 종합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의가였던 이제마(李濟馬, 1837-1900) 선생은 혼란스러웠던 시대 속에서 인간의 본성과 건강의 깊은 관계를 탐구했습니다. 그가 남긴 의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단순히 병을 고치는 방법을 넘어, 한 유학자의 **인간론(性命論)**을 의학의 틀 안에 담아내려는 깊은 사유의 결과물이었습니다. 당시 대부분의 의학서가 병이 생긴 후에 치료하는 **‘사후적 치료’**에 집중했던 반면, 이제마 선생은 체질에 맞는 생활 방식과 마음가짐으로 병이 나기 전부터 건강을 지키는 **‘양생(養生)’**을 강조했죠. 이는 현대의 예방 의학을 일찍이 예견한 놀라운 통찰이 아닐 수 없습니다. 『동의수세보원』은 단순한 의학서가 아니라, 조선 유학 사상의 중요한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2. 사상의학의 핵심 원리: 장부기능 우열론 이제마 선생은 인간을 크게 네 가지 체질로 구분했습니다.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그리고 각 체질마다 오장육부의 기능적 우열이 선천적으로 다르다 고 설명했죠. 즉, 어떤 장기는 강하고 어떤 장기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타고난다는 의미입니다. 체질별 특징 태...

📌 [Part 2] Which Test Can Detect the Signals in My Body? — Imaging Diagnostics by Disease

이미지
  CALee Acupuncture 📌 [Part 2] Which Test Can Detect the Signals in My Body? — Imaging Diagnostics by Disease In the previous post, we explored how imaging devices work. This time, let’s take a look at how these tools are actual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which tests are most effective for different diseases. ☁ X-ray: Quickly Detecting Problems in Bones and Lungs Main Diagnostic Areas Fractures: Check for bone damage after trauma Pneumonia, tuberculosis: Identify lung inflammation and lesions Arthritis: Analyze joint space and bone deformities ✅ Strengths: Fast and inexpensive ❗ Limitations: Soft tissue is not well visualized 🔄 CT: Fast and Precise 3D Imaging Main Diagnostic Areas Cerebral hemorrhage, stroke: Emergency diagnosis of acute brain conditions Cancer diagnosis: Staging and metastasis check (e.g., lung cancer, liver cancer) Abdominal conditions: Appendicitis, organ rupture, etc. Complex fractures: Detailed analysis of fine or multip...

📌 [2편] 어떤 검사가 내 몸의 시그널을 찾아줄까? 질환별 영상 진단 활용법

이미지
CALee Acupuncture 📌[2편] 어떤 검사가 내 몸의 시그널을 찾아줄까? 질환별 영상 진단 활용법 지난 편에서는 영상 진단 기기들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이 기기들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각 질환별로 어떤 검사가 효과적인지 살펴보겠습니다. ☁ X-ray: 뼈와 폐의 문제를 빠르게 포착 주요 진단 영역 골절 : 외상 후 뼈 손상 여부 확인 폐렴, 결핵 : 폐의 염증 및 병변 확인 관절염 : 뼈 사이 간격 및 변형 분석 ✅ 장점 : 빠르고 저렴 ❗ 한계 : 연부 조직은 잘 보이지 않음 🔄 CT: 빠르고 정밀한 3차원 검사 주요 진단 영역 뇌출혈, 뇌경색 : 급성 뇌졸중의 응급 진단 암 진단 : 폐암, 간암 등의 병기 설정 및 전이 확인 복부 질환 : 맹장염, 장기 파열 등 정밀 골절 : 미세 또는 복합 골절 분석 ✅ 장점 : 빠른 촬영, 정밀한 3D 영상 ❗ 한계 : 방사선 노출 많음 🎧 초음파: 실시간으로 내부 움직임을 추적 주요 진단 영역 임산부 검사 : 태아 상태 확인 갑상선, 유방 : 결절, 종양 여부 확인 복부 장기 : 간, 담낭, 신장, 췌장 등 혈관 : 혈류, 혈전, 협착 확인 근골격계 : 회전근개, 인대 손상 진단 ✅ 장점 : 방사선 無, 실시간 검사 ❗ 한계 :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 차이 발생 🧠 MRI: 연부 조직의 미세한 변화까지 주요 진단 영역 뇌 질환 : 뇌종양, 뇌염, 치매, 초기 뇌졸중 등 척추 질환 : 디스크, 협착증, 척수 종양 관절 질환 : 인대, 연골, 힘줄 손상 암 진단 : 간암, 전립선암 등에서 정밀 진단 및 추적 관찰 ✅ 장점 : 매우 정밀, 방사선 無 ❗ 한계 : 검사 시간 길고 비용 높음, 폐쇄공간 불편 🩺 어떤 검사를 선택할까? 검사 선택은 단순히 “어떤 장비가 더 정밀한가”가 아니라, 환자의 증상, 응...

📌 [Part 1] The Hidden Truth behind How Medical Imaging Devices

이미지
    CALee Acupuncture 📌 [Part 1] The Hidden Truth behind How Medical Imaging Devices — The Eyes of Modern Medicine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Multiple lenses that illuminate the body X‑ray and CT — The quantum mechanic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body Ultrasound — A landscape drawn by the time of waves MRI — Awakening atomic spins with magnetic fields Radiation safety (brief comparison) Conclusion and preview of the next installment Introduction: Multiple lenses that illuminate the body Our bodies are full of invisible signals and changes. Modern medicine “shows” that interior through various imaging devices.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how commonly encountered hospital tools — X‑ray, CT, ultrasound, and MRI — operate, and also explore the physical meaning behind those operating principles. X‑ray and CT — The quantum mechanic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body Basic principle X‑ray is a high‑energy electromagnetic wave — in effect...

📌 [1편] 현대 의학의 눈, 영상 진단 기기 작동 원리의 숨겨진 진실

이미지
    CALee Acupuncture 📌 [1편] 현대 의학의 눈, 영상 진단 기기 작동 원리의 숨겨진 진실 목차 서론: 몸속을 비추는 여러 렌즈 X-ray와 CT — 몸을 통과하는 빛의 양자역학 초음파 — 파동의 시간으로 그리는 풍경 MRI — 자기장으로 원자의 스핀을 깨우다 방사선 안전성 (간단 비교) 마무리 및 다음 편 예고 🩺 서론: 몸속을 비추는 여러 렌즈 우리 몸속은 보이지 않는 신호와 변화로 가득합니다. 현대 의학은 여러 영상 진단 기기 를 통해 그 내부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병원에서 흔히 접하는 X-ray, CT, 초음파, MRI 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 그리고 그 작동 원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X-ray와 CT — 몸을 통과하는 빛의 양자역학 기본 원리 **X-ray(엑스레이)**는 고에너지 전자기파, 즉 많은 에너지를 가진 **광자(photon)**입니다. 광자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인체를 구성하는 원자(및 전자)와 상호작용합니다. 밀도가 높은 조직(뼈)은 광자를 더 많이 흡수·산란시키고, 밀도가 낮은 조직(근육, 지방, 공기)은 광자가 잘 통과합니다. 그 결과 밀도 차이에 따른 명암 이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에 기록되어 2D 영상이 생성됩니다. 양자역학적 관점 엑스레이 광자와 물질의 상호작용은 미시적(양자적) 사건의 총합입니다. 광전효과, 산란 과정 등이 모두 양자역학으로 기술되며, 우리가 보는 영상은 이러한 미시 사건들의 거시적 결과 입니다. CT의 재구성 **CT(Computed Tomography)**는 여러 각도에서 얻은 다수의 X-ray 단면 영상을 수학적 알고리즘 으로 재구성해 3D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방향에서 들어온 양자 신호 를 종합적으로 해석해 단면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 초음파 — 파동의 시간으로 그리는 몸속의 풍경 기본 원리 방사선 대신, 귀에 들리지 않는...

🌌 Relativity Theory and Non-Self – The Relativity of Reality Born from Perspective [ENG]

이미지
  CALee Acupuncture 🌌 Relativity Theory and Non-Self – The Relativity of Reality Born from Perspective 📌 See Previous Posts: [Quantum Mechanics and Non-Self: There Is No Fixed “Me”] [Part 1] Where Is the Electron? [Part 2] There Is No One Who Is Truly “Me”  [Part 3] The Eightfold Path and the 8-Fold Way In previous articles, we explored the concept of anatta (non-self) through the lens of quantum mechanics, which governs the microscopic realm of modern physics. This time, we turn to relativity theory , the other great pillar of modern physics that addresses the macroscopic world, to see how the idea of non-self emerges there as well. Among the Noble Eightfold Path that the Buddha presented as the way to Nirvana , the very first practice is Right View (Samma-Ditthi, 正見) . Right View is not merely “seeing correctly,” but cultivating the attitude of perceiving the world as it is—without distortion, bias, or ego. At the end of this deep inquiry into Ri...

🌌상대성이론과 무아 – 관점에서 비롯된 실체의 상대성 [KO]

이미지
CALee Acupuncture 🌌상대성이론과 무아 – 관점에서 비롯된 실체의 상대성 📌 이전 글 보기 👉  [양자역학과 무아: 나라고 할만한 '나'는 없다]   👉 [1편] 전자는 어디에 있는가 👉 [2편] ‘나’라고 할 만한 내가 없다  👉 [3편] 8정도와 8-Fold Way 앞선 글에서 현대물리학의 미시세계의 한축인 양자역학 속에서 무아의 개념을 찾아보려 했습니다. 이번엔 현대물리학의 거시세계의 또다른 축인 상대성 이론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붓다가 니르바나를 위해 말했던 팔정도중 단연 첫 번째 실천 항목은 **정견(正見)**입니다. 정견이란 단순히 "올바르게 본다"는 의미를 넘어, 세상을 있는 그대로, 편견 없이 바라보는 태도 를 뜻합니다. 이러한 정견의 통찰 끝에는 역시 한 가지 중요한 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로, ‘나’라고 부를 만한 고정된 실체는 없다 는 것—즉, **무아(無我)**의 깨달음입니다. 1. ‘적’이라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우리가 누군가를 **‘적’**이라 부르는 순간, 그것은 우리 입장에서의 해석 일 뿐입니다. 그 사람에게는 자신이 아군일 수 있고, 제3자의 눈에는 그냥 지나가는 행인일 수 있죠. 즉, ‘적’이라는 개념은 절대적 실체가 아니라, 관점에 따라 생성되는 해석 입니다. 이처럼 무아란, 고정된 자아의 부재 를 말합니다. 존재는 독립된 실체라기보다, 조건과 관계 속에서 달라지는 상호작용적 현상 인 것이죠. 2. 정견이 말하는 ‘관점의 진실’은 물리학에서도 드러납니다 이러한 **‘관점의 상대성’**은 현대 물리학, 특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과 맞닿아 있습니다. 상대성이론은 말합니다: “모든 물리적 현상은 관찰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움직이는 우주선 안의 사람은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물체가 짧아지는 현상을 실제로 겪게 됩니다. 이는 착각이 아니라, 물...

🧘‍♂️Chuỗi bài Vật lý lượng tử và Vô ngã (3) Bát chính đạo và 8-Fold Way [VI]

이미지
   CALee Acupuncture   🧘‍♂️ Chuỗi bài Vật lý lượng tử và Vô ngã (3) Bát chính đạo và 8-Fold Way – Bản ngã chồng lấp và ẩn dụ của trật tự – Tái cấu trúc “cái tôi” và “trật tự” giữa sự phức tạp lâm sàng 🧭 [Xem bài trước] 🔗 Chuỗi bài (2): Không có một “tôi” thực sự – Nhìn lại tư tưởng vô ngã 🔹 Triệu chứng tưởng như hỗn loạn, nhưng có “trật tự vô hình” Trong phòng khám, thường gặp tình huống như: Kết quả xét nghiệm bình thường, nhưng bệnh nhân thấy mình “sụp đổ” Một triệu chứng vừa hết thì triệu chứng khác lại xuất hiện Mệt mỏi, mất ngủ, rối loạn tiêu hóa, cảm xúc thất thường cùng lúc Thực ra, đây là sự sụp đổ của trật tự sâu xa và chồng lấp – không dễ nhận ra. 1️⃣ Bát chính đạo – Cấu trúc ý thức của cuộc sống Bát chính đạo không chỉ là đạo đức mà là khung ý thức định hướng tinh thần: Chính kiến, chính tư duy, chính ngữ, chính nghiệp, chính mạng, chính tinh tấn, chính niệm, chính định Các yếu tố này hỗ trợ lẫn nhau, giống như khí huyết và tạng phủ phối hợp 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