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침술 (K-Acupuncture) [8편] 태음인 체질의 침구처방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8편] 태음인 체질의 침구처방 : 목양체질 & 목음체질
팔체질 침구처방 세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육중하고 끈기 있는 기운을 가진 태음인(太陰人) 체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음인은 크게 **목양체질(木陽體質)**과 **목음체질(木陰體質)**로 나뉘며, 두 체질 모두 간(肝) 기운이 강하고, 폐(肺) 기운이 약한 특징을 가집니다.
치료의 기본 방향은 강한 간 기운을 억제하고 약한 폐 기운을 보강하는 데 있습니다.
1. 목양체질 (木陽體質) 침구처방
장부 강약 서열
간(木) > 심(火) > 비(土) > 신(水) > 폐(金)불균형 핵심
간이 강하고 폐가 약함기본 처방 (金補方)
화(火) 중심 오행 평형 원리에 따라 약한 폐(金) 기운을 보강하고 강한 간(木) 기운을 억제하여 균형 회복주요 혈자리
보혈(補穴):
태연(太淵, LU9) – 폐 기운 강화
곡지(曲池, LI11) – 상체 열 내리고 폐 기운 보강사혈(瀉穴):
행간(行間, LV2) – 간 과도한 열 식힘
협계(俠谿, GB43) – 담 과도한 기운 내림주의 혈자리
비장(SP)과 위장(ST) 경락의 일부 토(土) 혈자리(土土穴)는 사하지 않음 (강한 간(木) 기운 보조)부방 활용
외분비 부방 (肝補方)
곡천(曲泉, LV8), 현종(懸鍾, GB39) – 간열과 관련된 피부염, 관절통 등내분비 부방 (脾瀉方)
상구(商丘, SP5), 족삼리(足三里, ST36) – 과도한 비위 에너지로 인한 당뇨, 소화불량, 복부 비만 등정신 부방 (和補)
중충(中衝, PC9), 곡택(曲澤, PC3) – 불면, 불안, 우울 등 심리적 증상 완화적용 증상 예시
천식, 비만, 변비, 만성 기침, 간질환 등
2. 목음체질 (木陰體質) 침구처방
장부 강약 서열
간(木) > 신(水) > 심(火) > 비(土) > 폐(金)불균형 핵심
간이 강하고 폐가 약함기본 처방 (木瀉方)
화(火) 중심 오행 평형 원리에 따라 강한 간(木) 기운을 억제하고 약한 폐(金) 기운을 보강하여 균형 회복주요 혈자리
보혈(補穴):
태연(太淵, LU9), 곡지(曲池, LI11) – 폐 기운 강화 및 상체 열 내림사혈(瀉穴):
행간(行間, LV2), 협계(俠谿, GB43) – 간과 담 과도한 기운 조절주의 혈자리
심장(HT)과 소장(SI) 경락 일부 화(火) 혈자리(火火穴)는 사하지 않음부방 활용
외분비 부방 (腎補方)
태계(太溪, KI3), 위중(委中, BL40) – 신장 기능 약화 관련 건조 피부, 부종 등내분비 부방 (膀胱瀉方)
음곡(陰谷, KI10), 위중(委中, BL40) – 과활동성 방광 등정신 부방 (和補)
중충(中衝, PC9), 곡택(曲澤, PC3) – 불면, 불안 등 심리 증상 완화적용 증상 예시
지방간, 간염, 건조 피부, 만성 기침 등
중요한 안내
본 내용은 팔체질 침술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참고 자료입니다. 혈자리 오용이나 부적절한 자극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섬세하고 냉한 기운을 가진 소음인 체질(수양체질, 수음체질) 침구처방을 마지막으로 다룹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이전 글 보기: [7편] 소양인 체질의 침구처방 : 토양체질 & 토음체질 👉 다음 글 보기: [9편] 소음인 체질의 침구처방: 수양체질 & 수음체질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