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6] Acupuncture Prescriptions for the Taeyangin Constitution

이미지
CALee Acupuncture Modern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6] Acupuncture Prescriptions for the Taeyangin Constitution: Geumyang & Geumeum Types Starting today, we will explore the acupuncture prescriptions for each constitution in the Eight Constitutional system. We begin with the Taeyangin (太陽人) constitution, the rarest and most unique among the eight. Taeyangin is divided into two types: Geumyang (金陽體質) and Geumeum (金陰體質) . Both share the characteristic of very strong Lung (Metal) energy and weak Liver (Wood) energy. 1. Geumyang Constitution (金陽體質) – Acupuncture Prescription Organ Strength Ranking Lung (Metal) > Spleen (Earth) > Heart (Fire) > Kidney (Water) > Liver (Wood) Core Imbalance Excessively strong Lung (Metal) energy and very weak Liver (Wood) energy Basic Formula (Metal-Reducing Prescription, 金瀉方) According to the Fire-centered Five Element balancing principle , reduce excessive Lung energy and reinforce weak Liver energy to rest...

한국 침술 (K-Acupuncture) [6편] 태양인 체질의 침구처방

이미지
    CALee Acupuncture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6편] 태양인 체질의 침구처방 : 금양체질 & 금음체질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팔체질 각 체질별 침구처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로, 팔체질 중 가장 소수이지만 독특한 특징을 가진 태양인(太陽人) 체질 에 대해 알아봅니다. 태양인은 크게 **금양체질(金陽體質)**과 **금음체질(金陰體質)**로 나뉘며, 두 체질 모두 폐(金) 에너지가 매우 강하고, 간(肝, 木) 에너지가 약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금양체질 (金陽體質) 침구처방 장부 강약 서열 폐(金) > 비(土) > 심(火) > 신(水) > 간(木) 핵심 불균형 지나치게 강한 폐(金) 기운과 매우 약한 간(木) 기운 기본 본방 (金瀉方) 화(火) 중심 오행 평형 원리에 따라 강한 폐 에너지를 억제하고 약한 간 에너지를 보충하여 체질 균형을 회복 주요 혈자리 보혈(補穴) 태연(太淵, LU9) – 폐 기운 강화 곡지(曲池, LI11) – 상체 열 내리고 폐 기운 보강 사혈(瀉穴) 어제(魚際, LU10) – 폐의 과도한 열 식힘 이간(二間, LI2) – 대장 기운 가라앉힘 주의할 혈자리 신장(KI) 및 방광(BL) 경락의 일부 수수혈(水穴)은 사하지 않음 (수극금(水剋金) 원리에 의거) 부방 활용 외분비 부방 ( 膽補方: 木 보 ) 현종(懸鍾, GB39), 태충(太衝, LV3) – 피부 염증 및 류마티스 등 염증성 질환 내분비 부방 ( 胃瀉方: 土 사 ) 음릉천(陰陵泉, SP9), 족삼리(足三里, ST36) – 장 염증, 퇴행성 질환, 소화기 문제 적용 증상 예시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만성 피로, 근육 경련 등 2. 금음체질 (金陰體質) 침구처방 장부 강약 서열 폐(金) > 토(土) > 화(火) > 수(水) > 목(木) 핵심 불균형 금양체질과...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5] The Eight Constitutional Acupuncture Meets the Classics: Inheriting and Innovating from Nanjing and Saam Acupuncture

이미지
     CALee Acupuncture Modern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5] The Eight Constitutional Acupuncture Meets the Classics: Inheriting and Innovating from Nanjing and Saam Acupuncture Today, we will explore the unique therapeutic method known as Eight Constitutional Acupuncture (ECA) . In this article, we focus on how ECA inherits the principles of the Nanjing (Classic of Difficulties) and Saam Acupuncture ,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its own independent theoretical framework. 1. Inheritance from the Nanjing and Saam Acupuncture, and the Uniqueness of ECA Eight Constitutional Medicine inherits the essential principle of the Nanjing (Difficulty 69) and Saam Acupuncture: 👉 “Excess must be reduced, and deficiency must be supplemented.” However, Dr. Kwon Do-Won reinterpreted and refined this principle within the unique framework of the “ Three-Dimensional Yin-Yang Five Elements ” and the “ Central Five Elements .” Three-Dimensional Yin-Yang Fiv...

한국 침술 (K-Acupuncture) [5편] 팔체질 침법, 고전을 만나다: 난경·사암침법 계승과 독자성

이미지
  CALee Acupuncture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5편] 팔체질 침법, 고전을 만나다: 난경·사암침법 계승과 독자성 오늘은 본격적으로 팔체질 침법 이란 고유한 치료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팔체질 침법이 **『난경(難經)』**과 **사암침법(舍岩鍼法)**의 원리를 어떻게 계승하고, 또 어떻게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합니다. 1. 난경·사암침법의 계승과 팔체질 침법의 독자성 팔체질 의학은 난경 69난과 사암침법의 핵심 원리인 👉 “지나친 것은 사하고, 모자란 것은 보한다” 는 보사(補瀉)의 원칙을 계승합니다. 그러나 단순한 답습에 머무르지 않고, 권도원 박사는 이를 **‘입체 음양오행 원리’**와 **‘중심 오행’**이라는 독자적 이론 속에서 새롭게 변용하여 적용했습니다. 입체 음양오행 원리 : 오행을 단순한 상생·상극의 평면적 관계가 아니라, 부피를 가진 입체적 존재 로 해석합니다. 생명체는 태어날 때부터 불평등한 오행 요소를 지니며, 이 불균형을 조절하려는 자생력이 체질별 평형 원리를 결정합니다. 중심 오행의 역할 : 특정 오행이 ‘중심’이 되면 다른 오행의 균형 원리가 달라집니다. 이로 인해 기존 상극 관계 외에도 새로운 강력한 상극 작용이 추가되며, 각 체질마다 장부의 강약 순서가 달라지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됩니다. 난경 75난의 변용 : 『난경』 75난은 오행의 상극 관계를 이용해 허실을 조절하는 원리를 제시합니다. 팔체질 침법은 이를 계승하면서도, 각 체질의 ‘중심 오행’에 맞추어 보사 경혈의 순서와 조합 을 독자적으로 결정합니다. 예) ‘목실(肝實)’인 경우 팔체질 화침은 수(水) → 화(火) → 금(金) 순서로 보사합니다. 이는 에너지 흐름의 방향과 처방의 작동 방식까지 ‘중심 오행’이 결정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보사 원칙의 차별성 : 팔체질 침법 역시 “보하려면 관을 사하고 모를 보한다(補母瀉官), 사하려면 관을 보하고 자를 사한다(瀉...

한국 침술 (K-Acupuncture) [4편] 침술의 고전적 지혜

이미지
    CALee Acupuncture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4편] 침술의 고전적 지혜: 난경 69난, 75난과 사암침법 이 편에서는 침술의 근본 원리인 오행침법의 철학적 토대와 임상적 응용 원리가 담긴 『난경(難經)』의 주요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육십구난(六十九難)에서 제시된 *“허하면 그 어머니를 보하고, 실하면 그 자식을 사한다(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라는 보사(補瀉)의 핵심 원칙과, 칠십오난(七十五難)에서 설명된 오행 상극(相剋) 관계를 이용한 치료 전략을 살펴봅니다. 또한 이러한 난경의 원리를 계승·발전시킨 **사암침법(舍岩鍼法)**의 고유한 보사법칙, 즉 *“보모사관(補母瀉官)”*과 *“사자보관(瀉子補官)”*을 탐구합니다. 1. 침술의 보편적 원칙: ‘지나친 것은 사하고, 모자란 것은 보한다’ 모든 침술의 근본 원리는 인체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데 있습니다. 장부의 에너지 흐름이 과도하거나 부족할 때, 이를 바로잡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이 원칙은 **“지나친 것은 사(瀉)하고, 모자란 것은 보(補)한다(瀉其太過 補其不及)”**로 요약됩니다. 지나친 것(太過, Excess): 특정 장부의 기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 그 에너지를 억제하거나 빼내어 균형을 회복합니다. 모자란 것(不及, Deficiency): 특정 장부의 기능이 약할 경우, 그 에너지를 보강하여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이는 마치 넘치는 물은 덜어내고 부족한 물은 채워주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2. 난경(難經) 69난의 지혜: 오행 자모 보사법 고대 한의학 고전 **『난경』**은 오행침법의 철학과 임상 원리를 집약한 책입니다. 그중 69난 은 다음과 같은 핵심 치료 원칙을 제시합니다: 👉 “허하면 그 어머니를 보하고(虛則補其母), 실하면 그 자식을 사한다(實則瀉其子).” 이는 오행의 상생(相生) 원리(예: 목생화, 화생토)를 바탕으로 장부의 허실을 조절하는 전략입...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4] Classical Wisdom of Acupuncture

이미지
    CALee Acupuncture Modern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4] Classical Wisdom of Acupuncture: Classic of Difficult Issues, Problems 69 & 75, and Sa-am Acupuncture In this part, we explore the essential principles of the Five-Element acupuncture system as presented in the Classic of Difficult Issues (Nan Jing, 難經) . In particular, we look at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stated in Problem 69: “When deficient, tonify its mother; when excessive, drain its child (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 , and the therapeutic strategies based on the controlling (相剋) relationship among the Five Elements explained in Problem 75 . We also examine how these classical principles were inherited and developed in the unique system of Sa-am Acupuncture (舍岩鍼法) , with its laws of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Tonify the mother and drain the official (補母瀉官)” and “Drain the child and tonify the official (瀉子補官).” 1. Universal Principle of Acupuncture: “Drain the Excess, To...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3] Beyond Sasang Toward a Refined Eight Constitutions Medicine

이미지
    CALee Acupuncture Modern Korean Acupuncture (K-Acupuncture) [Part 3] The Hidden Secrets of Eight Constitutions: From Sasang Medicine to Refined Eight Constitution Medicine In the previous post , we explored how Dr. Lee Je-ma’s Sasang medicine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and health. Today, we’ll take a step further and introduce the more refined framework of Eight Constitution Medicine —and answer one of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 “How exactly can we diagnose a person’s constitution?” 1. The Birth of Eight Constitution Medicine: From Four to Eight Types Sasang medicine laid the groundwork for personalized medicine by classifying humans into four constitutions. However, in clinical practice, doctors often observed subtle ye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tients within the same type. Starting from this question, Dr. Kwon Do-won expanded the theory by dividing each constitution into Yin (陰) and Yang (...

한국 침술 (K-Acupuncture) [3편] 사상의학을 넘어 정제된 팔체질의학

이미지
     CALee Acupuncture 근대 한국 침술  (K-Acupuncture) [3편] 여덟 개의 몸에 숨겨진 비밀: 사상의학을 넘어 정제된 팔체질의학 지난 편 에서는 이제마 선생의 사상의학이 인간의 본성과 건강을 이해하는 데 어떤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틀 위에 보다 정밀하게 구축된 팔체질의학이라는 체계를 소개하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 “과연 체질은 어떻게 정확히 진단하는가?” 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팔체질의 탄생: 사원(四元)에서 팔체(八體)로, 더 정교한 분류 체계 사상의학은 인간을 네 가지 체질로 나누어 개인 맞춤형 의학의 토대를 마련했지만, 임상에서는 같은 체질 안에서도 환자들의 증상이나 치료 반응이 미묘하게 다름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질문에서 출발하여 권도원 박사는 체질을 **음(陰)과 양(陽)**으로 다시 나누는 확장을 시도했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8체질이 도출되었습니다. 태양인 : 금양체질(金陽體質), 금음체질(金陰體質) 소양인 : 토양체질(土陽體質), 토음체질(土陰體質) 태음인 : 목양체질(木陽體質), 목음체질(木陰體質) 소음인 : 수양체질(水陽體質), 수음체질(水陰體質) 각 체질은 고유의 장부 강약 서열을 지니며, 이는 선천적인 오행의 불균형을 기반으로 합니다. 예시 금양체질: 폐(金) > 비(土) > 심(火) > 신(水) > 간(木) 목양체질: 간(木) > 심(火) > 비(土) > 신(水) > 폐(金) 이 정밀한 분류는 더 세밀하고 정확한 맞춤형 진단과 치료 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2. 체질 진단: 팔체질 진단법에 대한 탐구 팔체질의학에서는 정확한 체질 구별이 건강 관리의 첫걸음 입니다. 하지만 단편적인 지표만으로 진단할 수 없으며,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고 숙련된 전문가의 임상 판단이 필요합니다. 1) 맥진법(脈診法): 손목에서 읽는 인체...